문의: cau.multiculture@gmail.com / 02-881-7350
설명 관리자 2022-01-21 문화다양성이 심화하는 시대에 세계 곳곳에서 혐오와 차별 등과 같은 문제는 더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 몇 년간 코로나 19의 유행으로 인해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아시아 출신으로 보이는 사람들을 그들의 출신 배경과 상관없이 피하거나 폭행하는 등 문화다양성과 관련한 사회적 문제가 증가했다. 아시아의 지리적, 그리고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는 이런 편견에 맞서 미국에서는 “Stop Asian Hate”와 같은 사회운동도 활발해졌다. 하지만 코로나 19 확산 이전부터 존재하던 특정 문화권을 차별하는 문제는 일회적인 노력으로 극복되지 못할 것이다. 아시아 혐오 이전에 무슬림 혐오가 있었고, LGBTQ에 편견으로 맞서는 집단도 있다. 민족, 인종, 국적뿐 아니라 종교, 성별, 성 정체성, 장애, 그리고 정치적 견해와 비주류 문화까지 포함하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적절한 이해 없이는 사회에서 무분별하게 발생하는 문제의 근본을 이해하지 못할뿐더러 해결책을 제시할 수도 없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학술대회는 이런 아시아 지역과 연관된 사람들의 정체성, 그리고 문화적 다양성이 내포하는 문제점에 대해 전문가들과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의 사례를 통해 아시아 문화다양성의 발전 양상과 형태를 알아보고 더불어 국제적인 시각에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이민, 성별, 교육과 관련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엇보다 지역사회에서 경험되는 특정 문화적 배경을 가진 상대에 대한 타자화와 갈등의 원인을 알아보고 사회 통합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과정들을 토론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것은 비단 아시아와 아시아 배경을 가진 지구인들에게 국한되는 문제는 아닐 것이며 이를 통해 세계 다른 지역에 존재하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
글쓰기
프로그램
개회사 관리자 2022-01-17 10:00~10:15
사회: 변유경 (중앙대학교)
이산호 (중앙대학교 다문화콘텐츠연구소 소장) |
기조강연: 문화다양성과 아시아 정체성 다문화콘텐츠연구소 2022-01-17 10:15~12:00
사회: 조영미 (중앙대학교)
한건수 (문화다양성위원회 위원장) - 한국의 문화다양성 정책: 현황과 과제
민병갑 (City University of New York) - 아시안 아메리칸 : 인구통계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과 민족 • 인종적 정체성 |
Session 1: 문화다양성과 통합 혹은 갈등 다문화콘텐츠연구소 2022-01-17 13:00~14:30
사회: 김선규 (중앙대학교)
김도혜 (덕성여자대학교) - 유학생의 정체성 협상 전략을 통해 본 한국 사회 이주민 차별의 양상
이나영 (중앙대학교) - 한국사회 성차별과 여성들의 저항, 백래쉬
토론: 강명주 (중앙대학교) |
Session 2: 문화다양성의 다양성 다문화콘텐츠연구소 2022-01-17 14:45~16:15
사회: 구기연 (서울대학교)
Theyiesinuo Keditsu (Kohima College) - 문화다양성의 디지털 반복
윤지영 (창원대학교) - 브뤼노 라투르의 다자연주의 관점으로 다문화주의 비판하기: 행위자-연결망 이론으로 본 문화 다양성과 여성주의적 문제의식들
토론: 이광진 (중앙대학교) |
Session 3: 문화다양성 교육과 발상의 전환 다문화콘텐츠연구소 2022-01-17 16:30~18:00
사회: 박준성 (중앙대학교)
Yeni Rachmawati (University Pendidikan Indonesia) - 인도네시아 다민족 양육에 관한 연구
공완욱 (일산초등학교) - 미술교육에서 문화다양성 교육 실천 사례 연구
토론: 강인구 (중앙대학교) |
글쓰기